확대 l 축소

[사설] 이재명 정부 2개월, 정청래 대표는 민생 개혁의 동반자이자 지방선거 승리의 책임자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지 두 달이 지났다. 국정 운영의 윤곽은 잡혔지만, 국민의 삶에 체감되는 변화는 아직이다. 고금리·고물가의 이중고, 불안정한 노동시장, 지역 격차와 청년층의 절망은 정권교체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구조적 과제다. 대통령은 “모두의 대통령”을 자처하며 민생과 통합을 강조했지만, 정권의 철학을 제도화하고 성과로 연결하는 실천 주체는 여당, 그리고 여당의 리더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신임 당대표는 이제 단순한 메시지 정치나 투쟁형 야당의 연장선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그는 강한 발언과 전투력으로 인지도를 구축한 4선 중진이지만, 이재명 정부와 여당이 직면한 현실은 전선 확대보다 국정 보조와 실용 개혁을 요구한다. 지금은 검찰개혁을 말할 때가 아니라, 고물가 시대를 살아가는 시민의 장바구니 걱정에 응답할 시간이다.

정 대표는 수락 연설에서 “사법·언론·검찰개혁 TF” 즉시 가동을 언급했지만, 개혁의 우선순위는 정치가 아닌 경제여야 한다. 세제 개편, 청년 고용 정책, 에너지 전환 산업에 대한 재정 투입,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특단의 입법이야말로 당이 지금 당장 추진해야 할 개혁이다. 국민은 싸움보다 살림을 원하고, 이재명 정부가 성공하기 위해서라도 민생 중심의 법안과 예산 설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정청래 대표는 더욱 중대한 정치적 시험대에 서 있다. 바로 내년 지방선거다. 이 선거는 단순한 지방 권력 교체가 아니다. 신임 대통령의 정치적 중간평가이며, 민생 기조와 개혁 어젠다에 대한 국민적 승인 절차다. 만일 민주당이 이 선거에서 패한다면, 정권의 동력이 급속히 약화되며 이른 레임덕이 불가피하다. 이는 개혁 입법의 동력 상실뿐 아니라, 국정 전반에 대한 정당성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렇듯 내년 지방선거는 이재명 대통령에게도, 민주당에게도, 무엇보다 정청래 대표에게 돌이킬 수 없는 정치적 무게를 지닌다. 정 대표는 개혁의 리더일 뿐 아니라, 이재명 정부의 정치적 방패이자 가교로서 작동해야 한다. 공정한 공천관리, 중도와 무당층의 신뢰 회복, 지역 맞춤형 공약 구성을 통해 승리 전략을 설계하고, 대통령의 비전을 지역에서 실현할 책임이 바로 정청래 대표에게 있다.

정치권력은 권력획득보다 권력수성이 더 중요하다. 국민은 이제 ‘개혁’이라는 단어에 담긴 진정성과 설계 능력을 묻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청래 대표가 민생 중심의 개혁 실천자이자, 지방선거의 전략가로서 역할을 완수해야 한다. 민주당은 이제 정쟁의 언어를 내려놓고, 정책의 언어로 설득해야 한다. 이 모든 시험의 출발과 귀착은 바로 정청래 대표 자신에게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