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내년 지방선거 전 돌입 – 이재명 정부 1년, 민심의 첫 시험대가 다가온다



내년 6월로 예정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이제 채 1년도 남지 않았다. 하지만 이미 정국은 선거 모드로 빠르게 전환 중이다. 물밑에선 여야를 막론하고 조직 정비와 지역 기반 다지기가 한창이고, 유력 인사들의 출마설과 전략 공천 구상도 본격화되고 있다. 지방선거가 다가온다는 것은 곧 ‘정치의 계절’이 시작됐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번 지방선거는 단지 지방권력 교체에 그치지 않는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1년을 평가하는 첫 정치적 시험대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대통령 임기 초반에 치러지는 지방선거는 언제나 상징적이다. 보통 집권 초반의 기세가 유지되는 경우 집권 여당에 대한 지지가 이어지는가 하면, 기대와 현실의 간극이 커질 경우 민심의 조기 경고장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과거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 모두 임기 1~2년 차에 지방선거 혹은 재보궐 선거에서 뼈아픈 민심의 반전을 경험한 바 있다. 이번 지방선거 역시 ‘힘을 실어줄 것인가, 심판할 것인가’의 기로에서 유권자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지방선거는 전적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향후 1년 실적과 국정운영 성과에 달려 있다. 민생 회복, 부동산 안정, 검찰개혁 및 정치개혁, 청년층과 중도층의 이반 방지 등 실질적인 성과 없이는 여당의 조직력만으로는 압도적인 승리를 장담하기 어렵다. 반대로 체감 성과가 명확히 드러날 경우, 중도층 회복과 지방권력 기반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정권 1년차의 첫 시험대라는 점에서 이재명 정부에게도, 더불어민주당에게도 중대한 분수령이 아닐 수 없다.

야권도 만만치 않다. 국민의힘은 지도부 개편과 당내 정비를 통해 보수 결집을 꾀하고 있고, 신당 창당 혹은 제3지대 구상의 여지도 여전히 살아 있다. 여기에 민심 이반의 조짐을 포착한 일부 중도세력과 무소속 후보들의 도전도 거세질 전망이다. 전통적인 지역 기반 외에도 세대, 계층, 이념의 분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단순히 '보수 대 진보'라는 구도만으로는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선거가 될 것이다.

지방선거의 의미는 단지 ‘중간 평가’에 머무르지 않는다. 오히려 향후 3년간 정국 주도권을 누가 쥘지를 가늠하는 교두보이며, 2028년 총선과 차기 대선을 향한 정치지형의 향배를 결정짓는 출발선이다. 이번 선거에서 승리하는 세력은 명실상부한 전국 정당으로 발돋움할 기회를 얻게 되며, 반대로 실패하는 쪽은 정계 개편과 리더십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도 크다.

이제 선택은 유권자의 몫이다. 여야 모두 말이 아닌 실력으로 평가받는 국면에 접어들었다. 민심은 늘 조용히 움직이지만, 한 번 흐름을 타기 시작하면 정치를 송두리째 바꾸는 힘이 된다. 지방선거가 멀지 않았다. 진짜 선거는 이미 시작되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