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조사기간 2025.04.26, 리서치앤리서치] 이재명 지지율 46.0%… 지지층, 한덕수 중심 빅텐트에 강력 반대하며 결집 강화

진보층 결집 강화… 이재명 지지층, 한덕수 중심 ‘빅텐트’ 구상에 거센 반발
채널A가 2025년 4월 26일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전국 유권자 여론조사에 따르면, 차기 대선 후보 지지도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46.0%로 1위를 기록하며 독주 체제를 굳히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야권은 한덕수 후보(11.2%), 한동훈(8.5%), 김문수(7.2%), 홍준표(6.4%) 등으로 지지세가 분산되어 단일화 없이는 승부가 어려운 구도임이 드러났다.

이재명 후보는 40대(57.8%)와 50대(59.7%)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얻었으며, 30대(48.9%)에서도 우세를 보였다. 반면 고령층에서는 60대(39.8%), 70대 이상(26.3%)으로 지지율이 떨어졌다. 야권 핵심 후보인 한덕수는 70대 이상(28.0%)과 60대(18.8%)에서 강세를 보였다.

정당 지지층 분석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의 90.1%가 이재명을 지지했고, 조국혁신당 지지층 역시 83.4%가 이재명을 지지해 진보 진영의 높은 결집도를 보여줬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한덕수(26.3%), 한동훈(21.4%), 김문수(18.3%) 등으로 분산돼 결집이 어려운 상태다.

주목할 점은 ‘한덕수 중심의 빅텐트론’에 대한 평가다. 빅텐트론에 ‘반대’한다고 응답한 유권자 가운데 64.9%가 이재명을 지지해, 이재명 지지층이 한덕수 주도의 빅텐트 정치 연합에 가장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빅텐트론에 ‘동의’한다고 응답한 층은 이재명(21.5%)보다 한덕수(18.3%), 한동훈(10.2%) 등 야권 후보로 지지가 나뉘었다. 이는 단일화를 위한 빅텐트 전략이 이재명 견제를 목표로 하지만, 오히려 민주당 지지층의 거센 반발과 결속을 유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전체의 89.4%로 높게 나타났고,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90%를 넘는 등 고령층의 투표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무당층은 투표 의향이 낮고, 지지 후보도 뚜렷하지 않아 향후 판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로 남아 있다.

지지 강도 역시 이재명 지지자들의 결속력이 두드러진다. 이 후보 지지자의 90.6%가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이는 모든 후보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이는 높은 비호감도(36.0%)에도 불구하고 이 후보가 견고한 지지층을 확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 결과는 이재명 후보가 진보 진영을 확실히 장악하고 있는 반면, 보수 및 중도 진영은 지지 후보가 분산되어 있는 가운데, 단일화 없이는 판세 전환이 어려운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이재명 지지층의 빅텐트 반대 정서는 야권 통합 전략에 대한 경고로 작용할 수 있으며, 빅텐트론이 역설적으로 민주당 지지층의 결속을 강화시키는 촉매가 될 가능성도 크다.

이 조사는 채널A 의뢰로 (주)리서치앤리서치가 실시하였으며, 2025년 4월 26일 하루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전화면접 방식(CATI)으로 진행되었다. 표본은 무선 RDD 방식으로 추출되었으며, 성·연령·지역별 가중값은 2025년 3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적용되었다. 응답률은 9.6%였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이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